• 로그인
  • 고려대학교
  • 도서관
  • KUPID
  • English
  • Sitemap

고려대학교

Korea University Department of Sinographic Literatures

전공과목 개요

  • HANM201 맹자읽기Ⅰ
    • 四書 중에서 <孟子>의 강독을 통하여 이들 고전이 가진 문장의 특징을 익히어 한문 독해능력을 기르고 한문 문화권의 보편사상으로서의 유학사상의 일부를 근원적으로 이해하여 한국의 전통문화 연구의 기초능력을 갖추게 한다.
  • HANM242 맹자읽기Ⅱ
    • 四書 중에서 <孟子>를 읽는다. 여타는 앞의 맹자읽기Ⅰ의 요목에 준한다.
  • HANM250 한문독해의 첫걸음
    • 본격적인 전공과정에 들어가기 전에 기초적인 한문문장, 한시 등 한문학을 공부하는 데 필요한 예비적 지식과 소양을 기르도록 한다.
  • HANM251 서예의 감상과 실습Ⅰ
    • 한자의 字體는 楷書 이전에도 甲骨文, 金文, 大篆, 小篆, 隸書 등 여러 단계에 걸쳐 변천되었다. 본 과목은 예술의 경지에까지 이른 한자의 다양한 자체를 이론과 실습을 통하여 체득하게 하는 데 목적이 있다.
  • HANM252 서예의 감상과 실습Ⅱ
    • 앞 서예의 감상과 실습Ⅰ의 요목에 준한다.
  • HANM253 한자의 이해
    • 造字와 運用의 원리로서의 六書, 甲骨文에서 楷書에 이르기까지의 字體, 우리나라 한자음을 기준으로 한 字音, 字意의 성립과 증식의 과정, 異字同義 등 한자의 여러 문제에 대해 깊이 있게 이해하게 하고, 아울러 우리나라 고유의 한자에 대해서도 이해하게 함으로써 한문해독의 기초교양으로 삼도록 한다.
  • HANM254 한국한문소설 명작 감상
    • 우리나라 한문소설 중 주요 작품들을 독해하고 그 작가와 배경에 대해 밝히며 작품을 분석, 해석함으로써 한문소설 이해의 기본능력을 기르고 우리나라 한문소설사를 근원적으로 파악하게 한다.
  • HANM255 사기열전의 역사와 인물
    • 중국사서의 대표 격인 <史記>에서 그 기술적인 면에서 사서로서의 전형성이 높으면서 내용이 과거 우리나라 저작과 특히 관련 깊은 부분들을 우선적으로 강독하여 익힘으로써 우리나라 저작 이해의 기초능력을 갖추게 한다.
  • HANM256 삼국유사와 한국고대문화
    • 한국 고대의 신화, 역사, 문학, 민속, 종교 등의 이해의 기초자료인 <三國遺事>에 대한 강독을 통해서 한국문화와 사유방식에 대한 이해와 올바른 시각을 함양함으로써 한국문화의 뿌리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.
  • HANM257 한문학과 문화유산
    • 한국에 남아있는 다양한 문화유산을 실질적으로 접하고 이를 통해서 역사배경과 문화유산 내에 한문학과 관련이 있는 부분의 이해를 돕는다.
  • HANM258 한자문화권의 역사와 문화
    • 한자문화권이라는 범주 내에서 역사와 문화를 공유하였던 지점을 파악하여 동아시아 전체의 역사적 흐름 및 문화적 흐름을 이해한다.
  • HANM259 한시의 세계
    • 한국한시의 역사적 흐름을 이해하고 주요 작가 및 시풍의 변화를 통해 그 문학사적 의의를 살핀다.
  • HANM260 제자백가의 시대와 사상
    • 다양한 사상적 시도가 이루어진 제자백가의 저작은 동아시아 사상의 모태가 된다. 유가 경서 및 노장 사상을 제외한 나머지 사상가들의 다채로운 저작을 선독하고 그 사상사적 의의를 논의한다.
  • HANM261 한문소설의 세계
    • 한국한문소설의 역사적 흐름을 이해하고 주요 작가 및 작품 경향의 변화를 통해서 그 문학사적 의의를 살핀다.
  • HANM262 한국한시 명작 감상
    • 우리나라 역대주요시인들의 주요작품들을 다양한 성향으로 망라하여 독해, 음미하고 분석, 해석함으로써 한시 이해의 기본능력을 기르고, 우리나라의 한시사를 근원적으로 파악하게 한다.
  • HANM264 한문학입문
    • 본격적인 한문학 공부에 앞서 한문학을 공부하는 데 필요한 예비적 지식과 소양을 기르도록 한다.
  • HANM302 한국한문학사
    • 한자, 한문의 수용기로부터 고려, 조선, 현대문학 교체기까지의 한문학에 대해 주요 작가, 작품 및 사조적 현상 등 문학적 사실들의 특질과 의미를 사적 전개논리에 따라 이해하게 하되, 중국 고전문학에 대하여 한국 고전문학의 一系로서의 한국한문학의 독자성 인식에 주안점을 둔다.
  • HANM351 한문학비평의 세계
    • 중국의 역대 비평자료 가운데 동아시아 문학사에 영향력이 큰 자료들을 읽음으로써 한문학 비평의 중심 개념과 전통을 이해한다.
  • HANM354 한국한문산문 명작 감상
    • 우리나라 한문학에서 소설, 문학비평문을 제외한 역대산문작품들을 대상으로 독해, 음미,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한문산문의 특징을 이해한다.
  • HANM360 한문교과교육론
    • 한문교육의 이론적, 역사적 배경을 이해하며 한문교육의 목표, 중고등학교 한문과 교육과정의 분석 등 한문교육 전반에 관하여 연구한다.
  • HANM361 논어읽기
    • <論語>의 문장을 적절히 뽑아서 강독한다. 강독을 통하여 문장의 특징을 익히고 한문독해능력을 기르며, 동아시아의 보편 사상인 유학사상을 이해한다.
  • HANM362 통감읽기
    • <통감절요>를 교재로 삼아 강독한다. 이를 통해서 중국역사의 배경을 습득하고 기초적인 독해능력을 함양할 수 있게 한다.
  • HANM363 한문교과교재 연구 및 지도법
    • 한문교육의 이론적, 역사적 배경을 이해하며 한문교육의 목표, 중고등학교 한문과 교육과정의 분석 등 한문교육 전반에 관하여 연구한다. 한문교육의 성격, 중고등학교 교재의 분석, 수업안의 작성, 교수방법 등 한문과 지도의 실제 경험을 쌓게 한다.
  • HANM364 한국한문학비평의 탐구
    • 한국한문학비평의 역사적 흐름을 이해하고 주요 비평가 및 비평 논의의 변화를 통해 그 문학사적 의의를 살핀다.
  • HANM365 한문산문의 세계
    • 한국한문산문의 역사적 흐름을 이해하고 주요 작가 및 문풍의 변화를 통해 그 문학사적 의의를 살핀다.
  • HANM367 한국한문고전세미나
    • 삼국시대부터 고려시대에 이르기까지 한국 한문학사의 중심인물들에 대한 주요 작품을 읽고 그들의 생애와 문학에 대한 이해를 넓힌다.
  • HANM368 고문서와 금석문
    • 한문학의 연구방법에 대한 외연을 보다 확장하여 고문서와 금석문에 다양한 방면으로 접근한다. 즉 고문서의 서지학적 특징을 분석하고, 금석문의 의미와 가치를 파악하여 다양한 해석을 가능하게 한다.
  • HANM369 한문학과 자연과학
    • 인문학의 가장 기초인 한문학이 자연과학과 연계될 수 있는 지점을 확인하고, 자연과학을 통한 한문학의 이해와 분석을 체계적으로 한다.
  • HANM454 한문학연구와 논문작성
    • 학술논문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기초자료 수집에서부터 탈고에 이르기까지 제기되는 문제점을 이론과 실제를 통해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도록 한다.
  • HANM457 한문고전의 정리와 번역
    • 한문고전의 번역이 오늘날 생명을 지니기 위해서는 현대문화와의 소통이 중요하다. 현대문화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를 통해 한문 고전 번역의 대상과 방법을 논의하고 한문고전의 현대적 활용 가능성을 모색한다.
  • HANM461 한국한문학작가론
    • 한문학의 주요 작가의 작품을 대상으로 하여 거기에 나타나는 작가의 가치관, 역사인식 등을 도출하여 작가론의 기본적 이해를 파악하는데 주안점을 둔다.
  • HANM464 한국한문학과 동아시아문학
    • 한자문화권으로 대변되는 동아시아 한문학을 대상으로 하여 역사와 문화의 일면을 찾고 그것에 대한 의미를 고찰하도록 한다.
  • HANM466 고전해석학
    • 동아시아의 고전에 대한 해석과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다양한 국면으로 살펴본다.
  • HANM470 영어로 읽는 논어와 노자
    • 한문 고전인 논어와 노자를 단순히 국어로 번역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, 영어로 된 한문 고전을 접하여 각각의 언어에 대한 이해와 번역에 대한 능력을 함양한다.
  • HANM477 불교적 사유와 문화
    • 불교사상의 총체적인 체계와 중요개념, 범주 및 상호관계, 주요종파간의 관점차 등에 대하여 한국 한문학과 관련하여 이해하게 한다.
  • HANM479 한문교과논리 및 논술
    • 한문은 논리적인 구조로 짜여진 글이다. 다만 긴 시간동안 사용되다 보니 각 시대적 특성과 차이가 있어, 이 때문에 논리적임이 의심받게 되었을 뿐이다. 한문을 논리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성운학, 문자학, 훈고학이 필수적이다. 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문의 논리를 이해하고 바람직한 논술을 할 수 있을 것이다.
  • HANM480 한문문법과 문체
    • 한문강독에서의 실제적 효용에 주안을 두고 한문문장구조의 여러 형태와 특수어사의 용법을 예문중시으로 이해한다.
  • HANM481 오경읽기
    • 오경 가운데 <詩經>, <書經>, <禮記> 등을 오경읽기로 설정하여 적절히 뽑아서 강독한다. 강독을 통하여 이들 문장의 특징을 익히어 한문독해능력을 기르고 한문문화권의 보편사상인 유학사상의 일부를 근원적으로 이해하게 한다.